성실하게 사는 삶이란
A life lived with sincerity.
시편 37:3-6
3여호와를 의뢰하여 선을 행하라 땅에 거하여 그의 성실로 식물을 삼을지어다 4또 여호와를 기뻐하라 저가 네 마음의 소원을 이루어 주시리로다 5너의 길을 여호와께 맡기라 저를 의지하면 저가 이루시고 6네 의를 빛같이 나타내시며 네 공의를 정오의 빛같이 하시리로다 7여호와 앞에 잠잠하고 참아 기다리라 자기 길이 형통하며 악한 꾀를 이루는 자를 인하여 불평하여 말지어다 (시편 37:3-6)
3Trust in the Lord and do good; dwell in the land and enjoy safe pasture. 4 Take delight in the Lord, and he will give you the desires of your heart. 5 Commit your way to the Lord; trust in him and he will do this: 6 He will make your righteous reward shine like the dawn, your vindication like the noonday sun. 7 Be still before the Lord and wait patiently for him; do not fret when people succeed in their ways, when they carry out their wicked schemes. (Psalms 37:3-7)
A. 성도의 삶이란 The life of a saint.
하나님의 통치 아래서의 삶입니다. 하나님의 명령과 그가 정하신 율례를 따라 사는 삶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하나님의 통치는 이 땅에 완전히 임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하늘에서 이루어질 하나님의 뜻이 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성도의 삶이란 하나님의 통치 아래서의 삶인 동시에 완전한 하나님의 통치를 기다리는 삶입니다. 이 삶은 갈등을 동반할 때가 있습니다. 고통을 동반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때는 하나님의 명령과 세상의 명령이 다를 때입니다. 하나님의 방법과 세상의 방법이 다를 때입니다. 둘 중의 하나를 포기해야 할 때입니다.
1. 선을 행하는 삶입니다. A life of doing good deeds
여호와를 의뢰하여 선을 행하라'. 성도는 하나님을 섬기기 위해서 부름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세상 사람들을 섬기기 위해서 부름 받았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할 수 있는 한의 모든 힘을 다하여 이웃을 섬겨야합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만큼의 힘을 투자하여 세상을 향해 선을 베풀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때 성도는 세상의 비난의 대상이 됩니다. 또한 세상을 향한 성도의 외침은 힘을 잃고 맙니다..
또한 세상을 향하여 신을 행할 때 우리는 자신을 앞세워서는 안 됩니다. 선을 행하는 우리의 자세는 겸손해야 합니다. 오른손이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듯 해야 합니다. 이러한 삶의 모습에 대해 베드로는 우리에게 이렇게 권면하고 있습니다. '누가 봉사하려면 하나님의 공급하시는 힘으로 하는 것같이 하라'(벧전 4:11).하셨습니다.
2. 성실하게 사는 삶입니다. It is a life lived with sincerity.
'땅에 거하여 그의 성실로 식물을 삼을지어다'. 이 말을 다른 말로 표현하면 주위 환경이나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받지 말라는 말입니다. 성도는 예수 그리스도를 바라봐야 합니(히 12:2). 그러므로 예수님만 바라보고, 배우고 영향을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성도의 본분을 지키기란 그리 쉬운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예수를 바라보다가도 세상을 바라봅니다. 자신과 세상과의 차이를 비교합니다. 세상에게서 배웁니다. 아니면 세상을 질투하여 하나님께 불평 불만을 터트립니다.. 성도는 세상에 악이 관영 할수록 더욱 예수 그리스도를 닳아야 합니다. 이 말은 세상과 분리되라는 것이 아니라 세상 속에서 예수그리스도의 모습을 보여 주라는 것입니다. 모습으로써 오히려 세상이 성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성도는 자기 스스로가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야 할 뿐 아니라 세상에 자신을 보여 줌으로써 세상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영향 받도록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입니다. 따라서 선을 행함으로써 세상을 변화시키는 성도가 되시기 바랍니다
3. 여호와를 기뻐하는 삶입니다. A life that pleases Jehovah
'또 여호와를 기뻐하라 저가 네 마음의 소원을 이루어 주시리로다' 우리는 이 말씀의 뜻을 확실히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우리의 선행을 지속시킬 수 있습니다. '여호와를 기뻐하라' 다시 말해서 이 말은 여호와로 기쁨의 기준을 삼으라는 말씀입니다. 세상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기쁨의 대상과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가지는 기쁨의 기준을 우리의 기쁨의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 됩니다. 우리 기쁨의 기준과 대상은 오직 한 분 여호와이십니다. 이러한 자세만 갖는다면 우리의 신앙은 어떠한 경우에도 흔들리지 않을 것입니다. '항상 기뻐하라'는 명령이 결코 강제적인 명령이 아니라 그럴 수밖에 없는 필연성을 명령형으로 표현한 것일 뿐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B. 어떻게 성실한 삶을 살 수 있습니까?
How can I live a life of integrity?
1. 자기의 삶을 여호와 하나님께 맡기라
Entrust your life to Jehovah God.
5 너의 길을 여호와께 맡기라 저를 의지하면 저가 이루시고 6 네 의를 빛같이 나타내시며 네 공의를 정오의 빛같이 하시리로다.
5 Commit your way to the Lord; trust in him and he will do this: 6 He will make your
righteous reward shine like the dawn, your vindication like the noonday sun.
(Psalms 37:5,6)
1) 성도의 삶은 하나님께전폭적으로 맡기는 삶입니다.
It's a life of complete surrender.
우리의 삶을 아무에게나 맡기지 않습니다. 그럼 어떠한 사람에게 맡길 수 있습니까?
내가 확실히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맡깁니다. 하나밖에 없는 나의 삶을 누구에게 맡길 수 있습니까? 우리의 삶을 오직 천지를 창조하시고 자신의독생자를 우리를 위해 보내셨던 창조주 하나님께 맡겨야 합니다.
2) 성도의 삶은 하나님께서 책임지십니다.
God is responsible for the lives of saints.
하나님께서는 맹목적으로 맡기라고 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맡기라고 하시는 것은 우리의 삶을 보장하시겠다는 약속도 함께 하시는 것입니다.
믿음은 성도의 의무인 동시에 하나님의 책임입니다. 이는 우리의 보모님들이 어린 자녀에게 대한 책임을 지듯이 성도의 완전한 보호와 책임을 즐겨 부담하시는 좋으신 하나님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