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식에 대한 바른 이해
Correct understanding of fasting
마가복음 2:18-22
18요한의 제자들과 바리새인들이 금식하고 있는지라 혹이 예수께 와서 말하되 요한의 제자들과 바리새인의 제자들은 금식하는데 어찌하여 당신의 제자들은 금식하지 아니하나이까 19예수께서 저희에게 이르시되 혼인집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을 때에 금식할 수 있느냐 신랑과 함께 있을 동안에는 금식할 수 없나니 20그러나 신랑을 빼앗길 날이 이르리니 그 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21생베 조각을 낡은 옷에 붙이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기운 새것이 낡은 그것을 당기어 해어짐이 더하게 되느니라 22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 부대에 넣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새 포도주가 부대를 터뜨려 포도주와 부대를 버리게 되리라 오직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넣느니라 하 시니라
18 Now John’s disciples and the Pharisees were fasting. Some people came and asked Jesus, “How is it that John’s disciples and the disciples of the Pharisees are fasting, but yours are not?”
19 Jesus answered, “How can the guests of the bridegroom fast while he is with them? They cannot, so long as they have him with them. 20 But the time will come when the bridegroom will be taken from them, and on that day they will fast.
21 “No one sews a patch of unshrunk cloth on an old garment. Otherwise, the new piece will pull away from the old, making the tear worse. 22 And no one pours new wine into old wineskins. Otherwise, the wine will burst the skins, and both the wine and the wineskins will be ruined. No, they pour new wine into new wineskins.” (Mark 2:18-22)
이스라엘 백성들은 매년 7월 10일을 속죄일을 금식일로 정했고 장례식이 있을 때, 회개할 때, 어려운일이 있을 때 금식했습니다. 그 외에도 베벨론에 의해 성이 포이 된날 성이 함락된 날, 성전이 무너진 날 등이 금식하는 날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 당시에 바리새인은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오후 여섯시부터 다음날 6시까지 금식했습니다.마태복음 6:16-18에 있는 것처럼 슬픈 기색을 내고 얼굴을 흉하게 하고 머리에 기름도 바르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이러한 형식적인 금식을 하지 말것을 말씀하셨습니다.
1. 예수님의 금식에 대한 바른 태도
The right attitude toward Jesus’ fasting
예수님이 말씀하신 것은 금식을 부인한 것도 아니며 금식에 대한 부정적인 의사표시도 아니었습니다. 신앙생활에 있어 금식을 바로 지도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공생애 초에 금식을 40일간 하셨습니다.(마4:1-10)
그중에도 바리새인의 금식은 사람에게 보이려는 금식이었기에 금식의 대상이나 자세도 잘못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바리새파는 주전 2세기경 마카비 시대에 일어난 종파입니다. 마카비는 유대 민족의 애국자로 희랍의 속박에서 독립운동을 일으켰습니다. 이 시대에 율법을 철저히 지키자는 주장으로 일어난 종파로 보수주의자들이었습니다. 시작은 이렇게 좋았으나 위에 의식하는 대표종파가 되었습니다. 이들의 금식은 모두 인위적이었습니다.
1) 마리새인은 외식하는 자 : 걷과 속이 다른 사람, 타인을 흉내내는 사람
2) 거짓되고 위선적인 형태
3) 바리새인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함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기 위해 종교적 예식이나 의식을 행했다. (마6:5)
4) 구제에 있어서 외식 : 칭찬받기 위한 구제 (마6:2),
5) 예수님은 바리새인들을 회칠한 무덤이라 하셨다. (마23:25)
6) 예수를 함정에 빠뜨리려 했다 (마22:15-22)
2. 올바른 금식은 신앙에 기초해야 합니다.
Proper fasting must be based on faith.
금식은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친교의 방법으로 취해지는 형식이기에 진실해야 하고 정직해야 합니다. 참된 금식은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생활 이라했습니다.
기도는 하나님께 우리의 의사를 전달하는 교제의 방법입니다. 금식과 신앙의 실천이 병행될때 하나님이 받아주십니다. 철저히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 순종하는 기도여야 합니다.
이사야 58:5-8이것이 어찌 나의 기뻐하는 금식이 되겠으며 이것이 어찌 사람이 그 마음을 괴롭게 하는 날이 되겠느냐 그 머리를 갈대 같이 숙이고 굵은 베와 재를 펴는 것을 어찌 금식이라 하겠으며 여호와께 열납될 날이라 하겠느냐 6나의 기뻐하는 금식은 흉악의 결박을 풀어 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주며, 압제 당하는 자를 자유케 하며 모든 멍애를 꺾는 것이 아니겠느냐 7또 주린 자에게 네 식물을 나눠 주며,
유리하는 빈민을 네 집에 들이며, 벗은 자를 보면 입히며, 또 네 골육을 피하여 스스로 숨지 아니하는 것이 아니겠느냐 8그리하면 네 빛이 아침 같이 비췰 것이며 네 치료가 급속할 것이며 네 의가 네 앞에 행하고 여호와의 영광이 네 뒤에 호위하리니
5 Is this the kind of fast I have chosen, only a day for people to humble themselves?
Is it only for bowing one’s head like a reed and for lying in sackcloth and ashes?
Is that what you call a fast, a day acceptable to the Lord?
6 “Is not this the kind of fasting I have chosen: to lose the chains of injustice and untie the cords of the yoke, to set the oppressed free and break every yoke?
7 Is it not to share your food with the hungry and to provide the poor wanderer with shelter— when you see the naked, to clothe them, and not to turn away from your own flesh and blood?
8 Then your light will break forth like the dawn, and your healing will quickly appear.
then your righteousness will go before you, and the glory of the Lord will be your rear guard.
3. 금식은 필요로 하는 요청에 따라야 합니다.
Fasting must be done on demand.
이스라엘 나라의 결혼 예식은 신부가 하루 금식하고 목욕한 후 근신해야 하며, 어떠 처녀는 서워의 표시로 삭발까지 합니다. 이때 6개월 동안 모자를 쓰고 다닙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결혼예식을 행하되 결혼식은 밤에 진행합니다. 랍비가 주례를 서고 잔치는일주일동안 계속하며 마지막 날 신랑을 신부방으로 데려다 줌으로 친구들과 이별합니다. 이때에 금식하라고 하였습니다.
이 비유는 예수님 자신을 가르친 것으로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 이후의 승천을 뜻했고, 예수님을 잃은 뒤에 금식을 해야 할 만큼 마음의 소원이 있어야 하고, 절실하고 다급한 필요에 의해 금식을 합니다.
금식은 하나의 결단이요, 하나님께 향햔 지극한 정성의 표시입니다.
맹목적인 금식은 있을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요나 3:5)
신명기 9:9절에 모세가 10계명을 받을 때 식음을 전폐하고 금식했습니다. 하나님의 역사를 성취하기 위하여 엘리야도 40일간 금식했습니다.(왕상19:8)엘리야의 이야기
4. 잘못된 금식
잘못된 금식이란, 올바른 목적 없이 형식적으로 행해지거나, 다른 사람에게 보이려는 의도로 행해지는 금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성경에서 지적하는 위선적인 금식의 모습이며, 참된 금식의 의미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5. 생배조각의 비유와 새 포도주의 비유
The Parable of the Pieces of Fresh Wine and the Parable of the New Wine
생배조각에 낡은 옷에 붙이면 새 것이 낡은 것을 당기어 헤어짐이 더한다고 했습니다. 이는 구약의 제도와 종교의식이 신약에 맞지 않으며 복음이 구약에 지배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예수께서는 앞으로 올 복음시대에 대하여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구약의 성막과 성전이 신약의 예배로 벌전했고, 구약의 안식일도 신약의 주일로 변했습니다. 이제는 복음의 은혜 안에 거하란 말입니다. 이제는 율법의 규례나 의식이 아니라 영적인 교제와 인격의 만남을 강조하신 새로운 은혜의 시대에 대한 작용을 지시하신 말씀입니다.
이상과 같이 금식이나 예배나 기도나 말씀애 실천까지 복음안에서 이루어지기를 원하십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모든 헌신도 마음의 진실을 원하십니다. 하나님은 하나님과의 모든 교제에 중심을 보시고 하나님과의 영적 교제를 원하십니다. (행13:22)
22폐하시고 다윗을 왕으로 세우시고 증거하여 가라사대 내가 이새의 아들 다윗을 만나니 내 마음에 합한 사람이라 내 뜻을 다 이루게 하리라
22After removing Saul, he made David their king. God testified concerning him: ‘I have found David son of Jesse, a man after my own heart; he will do everything I want him to do.’ (Acts 13:22)
마가복음 2:18-22
18요한의 제자들과 바리새인들이 금식하고 있는지라 혹이 예수께 와서 말하되 요한의 제자들과 바리새인의 제자들은 금식하는데 어찌하여 당신의 제자들은 금식하지 아니하나이까 19예수께서 저희에게 이르시되 혼인집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을 때에 금식할 수 있느냐 신랑과 함께 있을 동안에는 금식할 수 없나니 20그러나 신랑을 빼앗길 날이 이르리니 그 날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21생베 조각을 낡은 옷에 붙이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기운 새것이 낡은 그것을 당기어 해어짐이 더하게 되느니라 22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 부대에 넣는 자가 없나니 만일 그렇게 하면 새 포도주가 부대를 터뜨려 포도주와 부대를 버리게 되리라 오직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넣느니라 하 시니라
18 Now John’s disciples and the Pharisees were fasting. Some people came and asked Jesus, “How is it that John’s disciples and the disciples of the Pharisees are fasting, but yours are not?”
19 Jesus answered, “How can the guests of the bridegroom fast while he is with them? They cannot, so long as they have him with them. 20 But the time will come when the bridegroom will be taken from them, and on that day they will fast.
21 “No one sews a patch of unshrunk cloth on an old garment. Otherwise, the new piece will pull away from the old, making the tear worse. 22 And no one pours new wine into old wineskins. Otherwise, the wine will burst the skins, and both the wine and the wineskins will be ruined. No, they pour new wine into new wineskins.” (Mark 2:18-22)
이스라엘 백성들은 매년 7월 10일을 속죄일을 금식일로 정했고 장례식이 있을 때, 회개할 때, 어려운일이 있을 때 금식했습니다. 그 외에도 베벨론에 의해 성이 포위 된날 성이 함락된 날, 성전이 무너진 날 등이 금식하는 날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 당시에 바리새인은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오후 여섯시부터 다음날 6시까지 그믹했습니다.마태복음 6:16-18에 있는 것처럼 슬픈 기색을 내고 얼굴을 흉하게 하고 머리에 기름도 바르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이러한 형식적인 금식을 하지 말것을 말씀하셨습니다.
1. 예수님의 금식에 대한 바른 태도
예수님이 말씀하신 것은 금식을 부인한 것도 아니며 금식에 대한 부정적인 의사표시도 아니었습니다. 신앙생활에 있어 금식을 바로 지도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공생애 초에 금식을 40일간 하셨습니다.(마4:1-10)
그중에도 바리새인의 금식은 사람에게 보이려는 금식이었기에 금식의 대상이나 자세도 잘못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바리새파는 주전 2세기경 마카비 시대에 일어난 종파입니다. 마카비는 유대 민족의 애국자로 희랍의 속박에서 독립운동을 일으켰습니다. 이 시대에 율법을 철저히 지키자는 주장으로 일어난 종파로 보수주의자들이었습니다. 시작은 이렇게 좋았으나 위에 의식하는 대표종파가 되었습니다. 이들의 금식은 모두 인위적이었습니다.
1) 마리새인은 외식하는 자 : 걷과 속이 다른 사람, 타인을 흉내내는 사람
2) 거짓되고 위선적인 형태
3) 바리새인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함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기 위해 종교적 예식이나 의식을 행했다. (마6:5)
4) 구제에 있어서 외식 : 칭찬받기 위한 구제 (마6:2),
5) 예수님은 바리새인들을 회칠한 무덤이라 하셨다. (마23:25)
6) 예수를 함정에 빠뜨리려 했다 (마22:15-22)
2. 올바른 금식은 신앙에 기초해야 합니다.
Proper fasting must be based on faith.
금식은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친교의 방법으로 취해지는 형식이기에 진실해야 하고 정직해야 합니다. 참된 금식은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생활 이라했습니다.
기도는 하나님께 우리의 의사를 전달하는 교제의 방법입니다. 금식과 신앙의 실천이 병행될때 하나님이 받아주십니다. 철저히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 순종하는 기도여야 합니다.
이사야 58:5-8이것이 어찌 나의 기뻐하는 금식이 되겠으며 이것이 어찌 사람이 그 마음을 괴롭게 하는 날이 되겠느냐 그 머리를 갈대 같이 숙이고 굵은 베와 재를 펴는 것을 어찌 금식이라 하겠으며 여호와께 열납될 날이라 하겠느냐 6나의 기뻐하는 금식은 흉악의 결박을 풀어 주며, 멍에의 줄을 끌러주며, 압제 당하는 자를 자유케 하며 모든 멍애를 꺾는 것이 아니겠느냐 7또 주린 자에게 네 식물을 나눠 주며,
유리하는 빈민을 네 집에 들이며, 벗은 자를 보면 입히며, 또 네 골육을 피하여 스스로 숨지 아니하는 것이 아니겠느냐 8그리하면 네 빛이 아침 같이 비췰 것이며 네 치료가 급속할 것이며 네 의가 네 앞에 행하고 여호와의 영광이 네 뒤에 호위하리니
5 Is this the kind of fast I have chosen, only a day for people to humble themselves?
Is it only for bowing one’s head like a reed and for lying in sackcloth and ashes?
Is that what you call a fast, a day acceptable to the Lord?
6 “Is not this the kind of fasting I have chosen: to lose the chains of injustice and untie the cords of the yoke, to set the oppressed free and break every yoke?
7 Is it not to share your food with the hungry and to provide the poor wanderer with shelter— when you see the naked, to clothe them, and not to turn away from your own flesh and blood?
8 Then your light will break forth like the dawn, and your healing will quickly appear.
then your righteousness will go before you, and the glory of the Lord will be your rear guard.
3. 금식은 필요로 하는 요청에 따라야 합니다.
Fasting must be done on demand.
이스라엘 나라의 결혼 예식은 신부가 하루 금식하고 목욕한 후 근신해야 하며, 어떠 처녀는 서워의 표시로 삭발까지 합니다. 이때 6개월 동안 모자를 쓰고 다닙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결혼예식을 행하되 결혼식은 밤에 진행합니다. 랍비가 주례를 서고 잔치는일주일동안 계속하며 마지막 날 신랑을 신부방으로 데려다 줌으로 친구들과 이별합니다. 이때에 금식하라고 하였습니다.
이 비유는 예수님 자신을 가르친 것으로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 이후의 승천을 뜻했고, 예수님을 잃은 뒤에 금식을 해야 할 만큼 마음의 소원이 있어야 하고, 절실하고 다급한 필요에 의해 그식을 합니다.
금식은 하나의 결단이요, 하나님께 향햔 지극한 정성의 표시입니다.
맹목적인 금식은 있을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요나 3:5)
신명기 9:9절에 모세가 10계명을 받을 때 식음을 전폐하고 금식했습니다. 하나님의 역사를 성취하기 위하여 엘리야도 40일간 금식했습니다.(왕상19:8)엘리야의 이야기
4. 잘못된 금식
잘못된 금식이란, 올바른 목적 없이 형식적으로 행해지거나, 다른 사람에게 보이려는 의도로 행해지는 금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성경에서 지적하는 위선적인 금식의 모습이며, 참된 금식의 의미를 훼손하는 행위입니다.
5. 생배조각의 비유와 새 포도주의 비유
The Parable of the Pieces of Fresh Wine and the Parable of the New Wine
생배조각에 낡은 옷에 붙이면 새 것이 낡은 것을 당기어 헤어짐이 더한다고 했습니다. 이는 구약의 제도와 종교의식이 신약에 맞지 않으며 복음이 구약에 지배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예수께서는 앞으로 올 복음시대에 대하여 말씀하시고 계십니다.
구약의 성막과 성전이 신약의 예배로 벌전했고, 구약의 안식일도 신약의 주일로 변했습니다. 이제는 복음의 은혜 안에 거하란 말입니다. 이제는 율법의 규례나 의식이 아니라 영적인 교제와 인격의 만남을 강조하신 새로운 은혜의 시대에 대한 작용을 지시하신 말씀입니다.
이상과 같이 금식이나 예배나 기도나 말씀애 실천까지 복음안에서 이루어지기를 원하십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모든 헌신도 마음의 진실을 원하십니다. 하나님은 하나님과의 모든 교제에 중심을 보시고 하나님과의 영적 교제를 원하십니다. (행13:22)
22폐하시고 다윗을 왕으로 세우시고 증거하여 가라사대 내가 이새의 아들 다윗을 만나니 내 마음에 합한 사람이라 내 뜻을 다 이루게 하리라
22After removing Saul, he made David their king. God testified concerning him: ‘I have found David son of Jesse, a man after my own heart; he will do everything I want him to do.’ (Acts 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