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답받는 자세Responding attitude
마가복음 7:24-30
24예수께서 일어나사 거기를 떠나 두로 지경으로 가서 한 집에 들어가 아무도 모르게 하시려하나 숨길 수 없더라25이에 더러운 귀신 들린 어린 딸을 둔 한 여자가 예수의 소문을 듣고 곧 와서 그 발 아래 엎드리니 26그 여자는 헬라인이요 수로보니게 족속이라 자기 딸에게서 귀신 쫓아 주시기를 간구하거늘 27예수께서 이르시되 자녀로 먼저 배불리 먹게 할찌니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치 아니하니라 28여자가 대답하여 가로되 주여 옳소이다마는 상 아래 개들도 아이들의 먹던 부스러기를 먹나이다 29예수께서 가라사대 이 말을 하였으니 돌아가라 귀신이 네 딸에게서 나갔느니라 하시매 30여자가 집에 돌아가 본즉 아이가 침상에 누웠고 귀신이 나갔더라
24Jesus left that place and went to the vicinity of Tyre. He entered a house and did not want anyone to know it; yet he could not keep his presence secret. 25 In fact, as soon as she heard about him, a woman whose little daughter was possessed by an impure spirit came and fell at his feet. 26 The woman was a Greek, born in Syrian Phoenicia. She begged Jesus to drive the demon out of her daughter. 27 “First let the children eat all they want,” he told her, “For it is not right to take the children’s bread and toss it to the dogs.” 28 “Lord,” she replied, “even the dogs under the table eat the children’s crumbs.” 29 Then he told her, “For such a reply, you may go; the demon has left your daughter.”30 She went home and found her child lying on the bed, and the demon gone. (Mark 7:24-30)
예수께서 갈릴리 자방을 떠나 지중해변 두로 지방으로 갔을 때 수로보니게 여자를 만나 그 여자의 딸을 고쳐주시 사건입니다.
어떻게 이 여인이 응답을 받을 수 있었는가?
1. 신앙이 있었습니다. There was faith.
신앙이란 믿는 것을 뜻하며 '믿는다'는 말에는 크게 보아 두 가지 뜻을 지납나다. 친구를 믿는다고 할 때는 그의 능력과 성실성을 인정하여 그를 신뢰한다는 뜻이고, 교리를 믿는다고 할 때는 그 교리의 내용이 나에게 자명(自明)하지 않지만 교리를 제시하는 권위자가 그 내용을 잘 알고 있고 그것을 있는 그대로 전해 주리라는 사실을 인정하여 교리를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신앙은 양자를 포괄하는 개념입니다....신앙은 종교나 영적인 믿음을 의미하는데 사람들은 신앙을 통해 삶의 목적을 찾거나 어려운 시기에 위로를 받기도 합니다. 각자의 신앙은 다를 수 있고 종교적 신념뿐만 아니라 인생에 대한 철학적 믿음도 포함합니다.
팔레스타인 원주민(가나안여인)이 복음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귀한 일입니다. 두로의 타락된 종교적 배경과 아스다롯 신을 섬기던 사람으로, 예수께 신앙고백을 갖게 된 것은 보통일이 아닙니다. 마태복음 15:22에서는 22가나안 여자 하나가 그 지경에서 나와서 소리질러 가로되 주 다윗의 자손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내 딸이 흉악히 귀신들렸나이다 22A Canaanite woman from that vicinity came to him, crying out, “Lord, Son of David, have mercy on me! My daughter is demon-possessed and suffering terribly.” (Matthew 15:22)
예수님을 메시아로 고백했습니다. 다만 소문을 전해들었을 뿐인데 개종의 결의가 뚜럿합니다. 복음만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예수님을 믿고 예수님을 의심없이 신뢰했습니다. 이 여인은 예수님의 주장을 바꾸어 놓을 만큼 뚜렷하고 강한 신앙의 의지로 예수님께 접근했습니다.
2. 겸손하였습니다. He was humble.
국어사전에 정의한 겸손은 남을 존중하고 자기를 내세우지 않는 태도라고 표현하였습니다.
겸손이란 남을 대할 때 거만하지않고 공손한 태도로 제 몸을 낮추는 것이며 남을 높이고 자신을
낮추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아니하고 다른 사람의 유익을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겸손은 자기보다 남을 존중히 여기며 자기의 주장을 내세우기보다 상대방의 의견을 폄하하지 않는 것입니다. 겸손은 섬김 받기보다 섬기는 것이며, 이해 받기보다 먼저 이해하는 성품입니다. 자신의 지식을 자랑하지않고 배우려고 조용히 청취하는 자세입니다. 겸손은 높임 받기보다 낮은 자리에서 겸허하게 섬기는 것이며, 자기 자신으로 가득 찬 마음을 비워 종의 자세를 가지는 것으로서 우선순위에서 자신을 맨 나중에 두는 마음 자세입니다.
겸손은 자기중심으로 생각하고 행동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생각하여 관용적 태도를 가지는 것입니다.
겸손은 자신의 즐거움을 위하여 노래하기보다 다른 사람의 슬픔에 같이 슬퍼하는 마음입니다.
겸손은 스스로 자신을 높이거나 다른 사람에 의해 높임 받기보다 오히려 자신의 부족함을 깨닫고 더 자신을 살펴보면서 자신을 비우는 자세입니다. 또한 높아지는 것은 내러가는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아는 것이 겸손입니다.
하나님은 겸손한 자에게 은혜를 주시고 교만한 자를 대적하신다. (약4:7) 하셨습니다.
마가복음 7:25절에 수로보니게 여인은 예수발아래 엎드렸다(25) 했습니다. 물론 자기의 딸의 병을 고치기 위해서 였지만 중년 부인으로서 낯선 남자 앞에 엎드린다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닙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은 겸손입니다. 교만은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 마음을 막습니다. 교만은 신앙의 적이요 타락의 시초가 됩니다.
예수께서 자녀의 떡을 개에게 줌이 마땅치 않다고 하실때” 묘욕과 멸시의 말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 말씀을 받아 드리면서 옳소이다마는 상 아래 개들도 아이들이 먹던 부스러기를 먹나이다(28절).
우리도 스스로 자신을 죄인으로 말하는 쉬어도 남이 우리에게 모욕을 주면 참기 어렵습니다.
3. 끝까지 구했습니다. She asked until the end.
마태복음 7:7절에 구하고 찾고 두드리면 반드시 응답된다. 하셨습니다.
1) 진실된 기도는 실망하지 않는 기도 입니다. True prayer is a prayer that does not disappoint.
우리가 믿음으로 살고 목표를 세워 기도할 때 외부와 내부의 장애물이 있다해도 극복해야 합니다. 소경바디메오나 중풍병자나 혈루증 여인은 예수님에게 접근하기가 여려운 장애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고 은혜를 입었습니다.
스로보니게 여인에게도 자존심이라 인격적인 모독으로 마음에 시험을 받았고 보이지 않는 정신적인 장애물을 극복하였습니다.
2) 마15:23에 보면 뿌리치고 걸어갔다고 했습니다. He said he shook it off and walked away
여인은 상당한 거리를 따라가며 호소 했습니다. 제자들이 예수께 그여인을 보내소서 할 정도로 간구를 멈추지 않고 따라가면 호소했습니다.
3) 어떤 의미로 보면 예수님은 그 여인을 시험하시는지 모릅니다. Jesus may be testing the woman.
여인은 시험에 합격한것입니다.(창22:1) 하나님은 많은 사람을 위해 한 사람을 시험할 때도 있고 개인에게 너무 크고 소중한 은혜를 주시려고 시험하실 때도 있습니다. 우리의 삶에서 그러한 시험이 올때 이겨나가야 합니다.